엇빗이음

부재의 두 갈래는 서로 상하로 엇갈리게 물리는 이음방식으로 두 부재의 형태가 같다. 뒤틀리기 쉽기 때문에 아래에 받치는 부재가 필요하다. 주로 서까래, 부연 등의 위에 평고대에서 보이며, 경사지게 물리는 이음부가 윗면에서 보이거나, 정면에서 보인다. 경사지게 물리는 이음부가 윗면 에서 보이는 경우는 순천 정혜사 대웅전,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의 평고대에서 확인되며, 경사지게 물리는 이음부가 정면에서 보이는 경우는 하동 쌍계사 대웅전, 익산 숭림사 대웅전 평고대에서 확인된다. 이음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