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부이음

장부는 凸형태로 부재의 마구리를 깎아 길게 낸 부분을 말한다. 장부의 폭은 부재 폭의 1/4~1/3 정도이며, 장부의 내민 길이는 장부의 폭보다 길게 한다. 장부이음은 이 장부를 凹형태의 홈을 판 다른 부재에 밀어 넣어 조립하는 이음방식을 말한다. 이 이음방식은 부재 마구리에서 깎아낸 장부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를 끼운 은장이음보다 부재 수축에 대해 결속력이 강하고, 맞댄이음, 반턱이음보다 뒤틀림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장부이음도 이음재의 축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결속력이 약해지므로 보강이 필요하다. 장부 이음의 보강 방법은 이음재의 축방향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수직부재 간 장부이음은 주로 수평방향으로 산지를 끼워 결속을 보강하고, 수평부재 간 장부이음은 주로 띠철 등으로 철물 보강을 한다.

수직부재 간 장부이음은 보은 법주사 팔상전과 대웅전, 금산사 미륵전과 같이 중층건물의 고주 에서 확인된다. 또한 상·하 2본의 부재를 凹凸형으로 연결하였는데 凸형의 장부가 아래로 향하게 한 경우가 대부분이나 어떤 부재는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수평방향으로 2개의 산지를 꽂아 보강 하였으며 산지의 모양은 원형이 대부분이나 금산사 미륵전은 방형의 산지를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