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장부이음

부재 한 면 너비의 1/4 만큼 一 자형 장부를 내고 동시에 장부 홈을 두어 서로 물리는 이음이다. 이 이음방식은 이음재의 축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결속이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은 부재 마구리의 一자 장부를 갈퀴형태로 내어 결구 하고, 수직방향으로 못을 관통하여 보강하였다. 또 기둥에 사용된 맞장부이음은 안산 경성당 사랑채 에서 보이는데, 장부에 촉을 덧댄 형태로 변형하였다.